본문 바로가기
Useful Things/술 추천

술 추천: 순곡 경주 생 막걸리

by FarEastReader 2022. 7. 31.
728x90
반응형

경주에서 구입한 또다른 막걸리는 순곡 경주 생막걸리 라는 막걸리다.

경주 시내의 마트에서 생각보다 경주 지역의 막걸리를 찾는게 힘들었다. 경주에서는 이종호 박사님의 '막걸리를 탐하다' 에서도 다루어진 생보리탁 이라는 막걸리를 한 번 마셔보고 싶었지만, 이번 방문에서는 아쉽게 미실 수가 없었다.

순곡 경주 생 막걸리는 경주의 안강주조 (안강막걸리)라는 곳에서 생산된다고 한다. 이곳 약시 오랜 역사를 가진 곳이다. 지방에는 이렇게 오랫동안 사랑을 받은 양조장이 많은데 세상 모든 것이 그렇듯 시장의 테스트와 시간의 테스트를 견뎌 낸 것은 그 나름의 분명한 존재가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이 순곡 경주 생막걸리의 경우 맛을 보면서 처음엔 큰 특징을 잡아내기 어려웠다. 약간 엣날 스타일의 막걸리라는 첫인상이었고, 다소 맛 자체가 여리여리한 느낌이었다.  그러나 몇잔 천천히 마셔보고, 다음 날 하루 밤 정도 숙성 시켜서 마셔보니, 이 막걸리도 괜히 오랜 시간을 버텨낸 것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여린 맛 속에서 잘 저어서 만든 막걸리 특유의 균형잡힌 단맛과 고소함이 느껴졌고, 잘 숙성된 누룩의 새큼털털한 발효된 맛이 은근히 중독성이 있었다.

달콤하거나, 과일향이 느껴지거나 하는 그런 마시기 쉬운 술은 아니지만, 토속적인 매력이 있는 그런 막걸리다. 개인적으로 장르를 정하자면 농주와도 살짝 다른 토주(土酒) 라고 명명해 주고 싶은 그런 맛이다.

향도 매우 어른스럽다. 달큰하게 잘 익은 막걸리 특유의 향이 올라오고, 밀과 쌀이 섞여 만드는 구수한 곡식향이 끝을 메꾸며 밀고 올라온다. 예쁜 향은 아니지만 적절히 구미가 당기는 그런 술향기다. 역시 술 익는 마을 류의 농촌 풍경이 그려지는, 그런 향이다.

질감은 탄산이 적고 비교적 라이트하다. 벌컥 벌컥 마시기 좋다는 뜻이다. 곡물 가루감도 없다. 나름 곡식의 맛은 잘 느껴지고 뒷맛이 살짝 진득한데도 그런 것을 보면 정말 잘 섞어 만든 모양이구나 하고 다시 한 번 감탄해 본다.

이전 막걸리를 마시기 시작할 때는 의도적으로 막걸리를 골라 마셨다. 그리고 같은 값이면 아스파탐이 들어간 제품이나 특색이 없어 보이는 전통 막걸리 스타일은 전부 제끼거나, 아니면 마셔도 추천할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역시 다시 기본이 궁금해진다. 그리고 다양한 로컬 막걸리의 맛을 다시 섬세하게 체험해 보고 싶다.

우리나라에 1500여종의 이상의 막걸리가 있다고 하고, 이 숫자는 계속 변하겠지만, 최대한 경험해 보고 싶다. 그것을 위해 더 잘 살아야 겠다는 다짐을 해 본다. 시간도 필요하고 건강도 필요하고, 약간의 돈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네이버나 구글로 막걸리를 검색하다 보면, 많이 리뷰하신 분들이 한 100~200종류의 막걸리를 3,4년에 걸쳐 리뷰하여 블로그에 올리는 걸 볼 수 있다. 나는 어느정도까지 해 낼 수 있을까? 결국 나도 언젠가는 질리든지 지치든지 해서 그만두게 될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더라도 기록은 의미가 있다.

언젠가 2020년대도 2010년대나 2000년대 또는 그 이전의 20세기 (90년대나 80년대)처럼 과거가 되겠지만, 시간의 흐름을 딛고도 살아남은 막걸리가 있으면 사람들은 계속 검색을 해 볼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여기서 추천한 술들이 그런 술들이 되기를 바랄 뿐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