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도 전통주 하나를 소개한 적이 있다. 그리고 내 취미가 어떤 지방에 가면, 그 지방 편의점이나 마트에 가서 해당 지역의 막걸리를 사서 맛보는 것이라고도 이야기 했다.
지금까지는 그런 막걸리들을 그냥 넘겼지만, 이제는 이렇게 기록을 남겨 놓으려고 한다. 매사 무슨 일이든 기록을 남기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이제는 알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일 때문에 용인시 백암에 갔다가, 이천시 마장 농협 하나로마트에 들러 보게 되었다.
해당 지역은 이천시에 있기 때문에 당연히 이천 지역의 막걸리를 팔 것으로 예상했는데, 뜻밖에도 이 용인 처인성 막걸리를 함께 팔고 있었다. 이천은 쌀이 유명한 고장인 만큼, 막걸리도 이천 지역 막걸리를 우선 판매하고 있을 줄 알았는데, 뜻밖에도 용인의 막걸리를 함께 팔고 있었다. "아, 수요가 그만큼 있다는 뜻이구나" 라고 생각하고, 이 용인 처인성 막걸리를 구매했다.
실제 마셔보니, 서울 장수막걸리와 달리 단맛이 그리 강하지 않아서 오히려 깔끔하게 느껴졌다.
첫잔은 약간 개성을 잘 느낄수가 없었지만, 약간 짭잘한 고기 안주와 함께 맛을 보니 이 처인성 막걸리의 장점을 잘 알 수 있었다.
그건 바로 특유의 '바디감'이었다.
결코 비싼 술은 아니지만, 쌀로 잘 빚은 술이란 것을 느낄 수 있는 바디감이 있었다. 탄탄한 조직감이 있고, 그 대신 단맛이나 막걸리 특유의 끈끈함은 좀 포기한, 그런 막걸리었다.
향은 잘 익은 밥같이 심심하지만 향긋한 향이 있었고, 차갑게 해서 먹으면 입안에 끈끈함이나 쓸데없는 뒷맛 같은 것도 남지 않고 잘 넘어갔다.
지역 막걸리들 중 대부분은 그냥 공장에서 찍어내듯 만들어서 별로 차이를 느끼기 어려운 술들이 대부분이지만, 이 용인 처인성 막걸리는 분명히 나름의 특징이 있었다. 그리고 그렇다면 이 막걸리를 일부러 찾는 사람들이 있는 것도 충분히 이해가 되었다.
달지 않고, 쓴맛과 탄산 또한 조화롭게 밸런스 잡힌 괜찮은 술인 것 같다. 알아보니 생쌀을 발효해서 만드는 게 일반적인 막걸리와는 다른 점이라고 한다. 이 술의 개성이 좀 설명되는 느낌이었다.
싼 술인 만큼 큰 기대도 금물이지만, 그래도 맛있는 막걸리 한잔을 위해서라면 후회없는 선택이 될 것이다.
참고로 이 술은 제조하고 10일 정도 저온숙성 시키면 더 맛있어 진다고 한다. 나는 2021.9.6. 제조된 것을 사서 산 다음날인 2021.9.12.에 바로 마셨지만, 의외로 재미있는 막걸리 인것 같다.
'Useful Things > 술 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추천: 벌떡주 (1) | 2021.10.03 |
---|---|
술 추천: 와일드 터키 101 (Wild Turkey 101) (0) | 2021.09.19 |
술 추천: 메이커스 마크 (Maker's Mark) (0) | 2021.08.29 |
술 추천: 투 버즈 원 스톤 (Two Birds One Stone) 와인 (0) | 2021.08.21 |
술 추천: 우드헨지 (Woodhenge) 와인 (0) | 2021.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