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묘사할 때, 벗어 나기 어려운 위기와 다가오는 절망 속에서 느끼는 짧고 덧없는 행복으로 구성된 것이라고 보는 관점이 있다.
아래 불경인 '빈두설경'에 나오는 '안수정등' 설화가 아마 이 묘사의 원전이 아닐가 싶다.
건장한 사나이가 한없이 넓은 언덕을 거닐고 있었습니다.
평화로운 듯 하면서도 묘한 분위가 풍기는 언덕이었습니다.
쉬엄쉬엄 꽃도 구경하고 벌레들도 쫓고 언덕의 풍경도 감상하며 거닐고 있는데,
멀리 사방팔방으로 부터 사나운 불길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서서히 좁혀 들어오는 불길을 보면서 어떻게 벗어날까를 심각하게 고심하고
있는데, 불현듯 미친 코끼리 한 마리가 나타나 사납게 덤벼드는 것이었습니다.
먼 곳의 불길보다는 미친 코끼리를 피하기에 급급했던 사나이는 황급히 도망을
쳤고, 눈앞에 큰 나무가 나타나자 죽을힘을 다해 올라가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코끼리는 다른 곳으로 떠나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계속 나무 밑을 맴돌며
그가 내려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나무에 의지하여 한숨을 돌리기는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배가 고프고
갈증이 나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그는 탈출할 길을 찾았고, 마침 나무에 얽혀 있는
칡덩굴이 아래쪽의 크고 깊은 우물로 드리워져 있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사나이는 위험을 무릅쓰고 칡덩굴에 매달렸고, 차츰 아래로 내려가 우물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우물 속이라 하여 평화롭지는 않았습니다.
우물 밑바닥에는 용이 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한 이무기 세 마리가 떨어지면
잡아먹겠다며 큰 입을 벌리고 있었고, 우물가에는 독사 네 마리가 혀를 날름거리며
잔뜩 노려보고 있었습니다.
사나이는 식은땀을 흘리며 목숨 줄인 칡덩굴에 꽉 매달려 버텼지만,
차츰 힘은 빠지고 손은 저려왔습니다.
그나마 빨리 떨어지라고 우물 위쪽에서는 흰 쥐와 검은 쥐가 교대로 칡덩굴을
조금씩 조금씩 갉아먹고 있었으니....
'죽었구나!' 생각하며 칡덩굴만 잡고 있는데, 갑자기 입안으로 액체 한 방울이
들어왔습니다. 고개를 들어보니 나무 구멍에 지어 놓은 벌집으로부터 꿀방울이
똑똑 떨어지는 것이었습니다.
달디 단 그 꿀은 모든 것을 잊게 했습니다.
달콤한 한두 방울의 꿀을 받아먹는 재미에 사나이는 더 이상 탈출할 생각을 하지 않고, 인생의 괴로움과 죽음의 두려움을 모두 잊은 채 칡덩굴에 매달려 있었습니다.
빈두설경(賓頭說經)의 안수정등(岸樹井藤) 설화
아주 비슷한 이야기가 톨스토이의 참회록에 나온다.
어떤 나그네가 광야(廣野)를 지나다가 사자가 덤벼든다. 놀라서 사자를 피하려고 주위를 둘러보니 마침 마른 우물을 발견하고 급히 우물 속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우물 안에는 큰 뱀이 입을 벌리고 혀를 날름거리고 있었다.
우물 밑바닥으로 내려갈 수 없고, 우물 밖으로 나올 수도 없는 그야말로 진퇴양난이 되고 말았다. 나그네는 우물 안의 돌 틈에서 자라난 조그만 나뭇가지에 매달린다. 절체절명의 위기에 봉착한 것이다.
나뭇가지에 매달려 나무를 쳐다보니 검은 쥐와 흰쥐 두 마리가 나뭇가지를 쏠고 있는 것이 보였다. 두 손은 놓지 않는다 하더라도 결국 나뭇가지가 부러져 우물 밑에 있는 큰 뱀의 밥이 될 참이었다.
그런데 나그네가 주위를 돌아보니까 그 나뭇가지의 끝에 몇 방울의 꿀이 흐르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을 혀로 핥아 먹었다. 나그네는 불현듯 현재 자신에게 닥친 상황이 마치 ‘인간이 산다는 것이 이와 같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톨스토이 '참회록'
재미있지 않나? 동서 고금, 국적과 종교를 불문하고 비슷한 묘사에 깊이 공감하고 있는 것이다.
보통 이 우화를 해석할 때, 자기가 곧 죽을 운명임에도 몇 방울의 꿀에 행복해 하는 인간의 덧없음과 어리석음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나는 꼭 그렇게만 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우리는 이 몇방울의 꿀에 좀 더 집중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해 보는 것이다.
인생이 이렇기에 우리들은 대부분 쉽지 않은 삶을 살고 있다.
다들 인생이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너무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 집중한 나머지, 이 몇방울의 꿀도 놓치고 산다.
하지만 이러나 저러나 힘들고 고통을 피할 수 없다면, 이 꿀 몇방울이라도 최대한 즐기고 감사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쉽지 않은 나날 속에서도, 우리가 맛볼 수 있는 꿀 몇방울은 반드시 있다는 것으로
이 우화를 다시 생각해 보면 어떨까 싶다.
나 개인으로도 이번 2023년 5월은 아주 힘이 드는 나날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이 우화의 해석방식에 의지하면서 그 안에서 즐거움을 확보하며 최대한 행복하게 살아가려고 스스로를 다독이고 있다.
그러고 나니 현재, 지금 이 순간까지는 어떻게든 잘 버텨 올 수 있었다.
아직 이번 주와 다음 주 2주간을 잘 버텨야 하지만, 어찌되었든 용기를 내어 볼 생각이다.
먼 길을 걸어야 하고, 어차피 힘든 길이다.
그럴 바에야 서둘지 말고 주어진 일을 차근 차근히 하면서 조심스럽게 대응해 나가는 것이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
뜻대로 안된다고 슬퍼하지 말고, 하나씩 하나씩 버티며 대응해 나가야 한다.
그게 인생이고, 인생은 정말이지 훈련소의 기능이라고 보는게 맘 편하다.
영혼을 단련하는 훈련소...
'수렵채집일기 > 운명을 개척하기 - 지혜와 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아남고 진화하자 (0) | 2023.05.26 |
---|---|
계속 헤엄치기 - 남들에게 당연한 것이 당신에게 사치일 때 (0) | 2023.05.19 |
사람들을 만나게 하라 (0) | 2023.05.15 |
늘 자기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기 (1) | 2023.05.14 |
희소성을 추구해라 (0) | 2023.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