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렵채집일기/Blockchain 라이브러리

화폐는 장부다

by FarEastReader 2022. 2. 23.
728x90
반응형

화폐란 무엇인가를 생각하다 보면, 돌덩이나 쌀, 조개, 이런 것들에게 어떻게 사회적인 가치가 부여되어서 한 사회에서 가치평가나 가치척도, 가치저장 및 교환의 수단으로 쓰였는지 고민하게 된다.

사실 따지고 보면 금태환제가 종료된 이후로, 달러 지폐나 엔화 지폐나 원화 지폐나, 사실은 예쁜 종이이지만, 역시 엄연하고 확실한 화폐로 잘만 쓰이고 있다.

결국 화폐란 건, 어느정도 가치 중립적인 무언가 (그게 쌀이든 예쁜 종이든)에, 사회적으로 어떤 거래가 이루어졌는지를 어딘가에 잘 적어 놓고 (장부),  이 화폐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우선적으로 그 화폐를 소유권을 추정해 주면 되는 것이다. 실제 소유하고 있는건지, 빌린 건지, 훔친건지는 장부를 보면 정확히 알 수 있기만 하다면, 이 자체로 충분히 돌아간다.

그렇기에 화폐는 '장부의 맨 마지막 한 줄' 같은 것이고, 그 화폐가 어떻게 그 소유자에게 들어가게 되었는가를 볼 수 있다면, 즉, 신뢰성 있는 장부를 확인할 수 있다면ㅡ, 화폐는 온전하게 거래의 결과로서 화폐를 쥐고 있는 사람이 '쓸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뭐 어려운 말이지만, 한 번 생각해 보기 바란다.

 

비트코인은 '암호화폐'라기 보다는 '암호화된 장부화폐'라고 불러야 하지 않을까 한다. ㅋㅋ 말이 너무 길지만, 그게 제일 정확한 것 같다. '가상자산'은 사실상 무의미한 말이다. 실제로 비트코인에는 '거래'라는 실체들이 암호화되어 블록 체인의 형태로 담겨 있기 때문이다. 무엇이 가상이란 말인가? 실물로 만져 볼 수 없다는 의미에서?

그렇다면 더욱 정확히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암호화된 장부화폐'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겠다. 이걸 다시 '가상 암호 장부 화폐'라고 한자어를 써서 표현한다면 뭐.... 다시 가상화폐, 암호화폐, 장부화폐로 줄일 수 있겠지만, 나는 이 중에서 이제부터는 '장부화폐'라는 말을 써야 본질에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

 

쓸데없는 말이 길었는데, 나는 최근에 이 사실을 깨닫고서

비트코인은 설령 양자컴퓨터가 나와서 비트코인의 암호키를 손쉽게 해제한다고 해도, 

또 더 엄청난 기술과 코인이 나온다 해도, 

쉽게 사라질 수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비트코인은 화폐의 장부기능까지 갖춘, 인류가 발명한 '돈' 또는 '화폐'에 가장 적합한 발명품이며

따라서 비트코인이 사라질 걸 기대하는 것은 앞으로 '바퀴 (wheel)'라는 발명품이 사라지는 것을 기대하는 것과 비슷하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비트코인의 valuation (가치평가)는, 결국 비트코인이 사용되는 경제권의 규모로 결정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직은 작다. 이제 겨우 국가 규모로는 에콰도르 정도 들어온 것 같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점차 비트코인이 달러 등 다른 법정화폐 또는 그 CBDC 처럼 쓰이기 시작한다면, 그 경제권의 규모는 엄청나게 커질 것이다.

그러면 그 경제권의 총 경제규모의 2100만분의 1인 비트코인 1개의 가치는 지금의 5천만원 남짓보다 훨씬 더 클 것이다.

한국의 2021년 GPD가 1.6조달러인데, 이걸 단순히 2100만분의 1로만 봐도 78만달러, 즉 9억원 가까이 된다.

 

비트코인은 역시 아직 너무 싸다.

특히 이렇게 바겐세일이 나올 때는 무조건 사야 한다.

 

앞으로 비트코인 경제권이 어떻게 커 나갈지, 정말 궁금하다.

 

728x90
반응형

댓글